TCHP 항암치료, 무엇이 다를까?
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TCHP 요법 완전 정복
1. TCHP 항암치료란?
TCHP는 HER2 양성(HER2-positive)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되는 네 가지 항암제 복합요법입니다.
T | 도세탁셀 (Docetaxel) |
C | 카보플라틴 (Carboplatin) |
H | 허셉틴 (Trastuzumab) |
P | 퍼제타 (Pertuzumab) |
목표: HER2 단백질이 과발현 된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,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사용됩니다.
2. 왜 TCHP가 중요한가요?
HER2 양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중 약 15~20%를 차지하며, 상대적으로 진행이 빠르고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.
하지만 TCHP 요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:
- 빠른 암세포 억제
- 수술 전 종양 크기 축소(선행항암) - 보통 6차까지 진행.
- 재발률 감소
- 전이 가능성 낮춤
📌TIP: 특히 수술 전 선행 항암으로 TCHP를 사용하는 경우, 병의 진행 정도를 줄이고 유방 보존 가능성을 높입니다.
3. 각 약물의 역할
- Docetaxel(T):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암세포 성장을 막음
- Carboplatin(C): DNA 손상을 유도해 세포 사멸 유도
- Trastuzumab(H): HER2 수용체에 결합해 암세포 성장 억제
- Pertuzumab(P): Trastuzumab과 시너지 효과, 암세포의 신호 전달 차단
4. TCHP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?
- 주기: 보통 3주에 1회, 총 4~6사이클
- perjeta 와 Herceptin 복합요법에서 6주 이상 투약 지연 될 경우 Roading 용량으로 다시 투약해야 합니다.
- Perjeta와 Herceptin 는 1차는 Roading 용량으로 투약하고 2차부터는 유지 용량으로 투약합니다.
- 방법: 정맥 주사로 투약
- 병행치료: 수술 전(선행항암), 수술 후(보조항암), 또는 둘 다 적용
5. TCHP의 대표적인 부작용
* Docetaxel는 정맥 투약 시 과민 반응이 나타 날 수 있는 약으로 투약 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.
- 가슴 두근거림, 숨찬 느낌, 혈압저하, 맥박상승, 전신발한, 안면홍조,복통, 요통등이 나타 날 수 있습니다.
* Perjeta 는 투약 시 가슴 두근 거림, 가슴 답답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* Herceptin 는 투약 시 춥다고 하거나, 열이 날 수 있으며 가슴 답답함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.
* Carboplatin 는 가슴 답답함, 안면홍조, 두드러기, 가려움, 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
=> TCHP 는 정맥 투약 시 모든 항암에서 과민 반응이 나타 날 수 있어 투약 시 의료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
항암 후 부작용 | |
혈액 관련 | 백혈구 감소증, 빈혈, 혈소판 감소 |
위장 | 메스꺼움, 구토, 설사 |
피로감 | 지속적인 무기력함 |
탈모 | 거의 모든 환자에서 발생 |
감각 이상 | 손발 저림, 감각 둔화 |
심장 기능 저하 | 특히 허셉틴 사용 시 심초음파 검사 병행 필요 |
전신 증상 | 고열, 근육통, 열감 |
📌관리 팁: 부작용은 조절 가능한 경우가 많으며, 사전 설명과 주의 사항 숙지로 훨씬 수월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
"처음 TCHP 치료를 시작할 때 많은 환자분들이 두려워하시지만 생각 보다 잘 이겨 내십니다.
유방암 항암은 충분한 정보와 준비, 의료진과의 소통을 통해 몸과 마음 모두 지키는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."
6. TCHP 치료 중 기억해야 할 점
- 주기적인 심장기능 검사(ECHO) 필요(Herceptin)
- 감염 예방을 위한 손 위생, 개인 위생 관리 철저
-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
-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기
7. 마무리하며…
TCHP는 정확하게 알고 대비한다면 충분히 이겨낼 수 있는 과정입니다.
제 블로그에서는 앞으로도 유방암 관련 치료 정보, 환자 경험, 생활관리 팁 등을 계속 소개할 예정이니 함께 해주세요!🤍